2. 역량쌓기 - 자격증 - 재무/회계
역량쌓기 - 자격증 - 재무/회계
1. 재무/회계 자격증
-재무회계는 전문적인 지식이 중요한 만큼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격증은 필수입니다. 따라서 그 성격과 난이도 별로 자격증도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또한 재무/회계 직무가 아니더라도 전반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지식이기 때문에 각 업무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자격증이므로 다양한 곳에서 각광받습니다.
2. 재무/회계 자격증 종류
1) 공인회계사/세무사
-더 말할 필요가 없는 회계 분야의 최고 자격증 두가지 입니다. 이 두 자격증이 있다면 상당히 쉽게 입사하실 수 있습니다. 난이도나 그런 것은 다들 아실테니 말을 줄이겠습니다.
2) 전산세무회계
난이도 하→상
전산회계2급 → 전산회계1급 → 전산세무2급 → 전산세무1급
-일반적으로 경리부터 중견중소, 상장기업, 금융기업까지 다양한 목표를 가진 취준생들이 기본적으로 무난하게 취득하는 자격증입니다. 전산회계2급은 회계원리 수준에서 시작해서 급수가 높아질수록 범위가 넓어집니다. 전산회계1급은 간단한 원가회계와 세무회계가 추가되는 수준, 전산세무2급에는 원천징수가 추가되며, 전산세무1급은 법인세 파트가 추가되어 가장 광범위합니다.
또한 전산세무는 이름처럼 전산 프로그램 kclep을 사용하여 실기70%, 필기30%로 평가되기 때문에 다른 자격증과는 조금 더 실무적인 면이 있습니다. 70점 이상 득점하셔야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자격증으로는 TAT, FAT가 있으며 전산세무회계와의 차이점은 주관하는 곳이 다르다는 점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다르다는 점입니다. 전산세무회계는 한국세무사회, FAT/TAT는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주관합니다. 또한 FAT/TAT는 더존 프로그램을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두 자격증의 프로세스나 다루는 점은 비슷하지만 더존을 다루는 회사에서는 FAT/TAT를 더 우대한다는 점이 있지만 조금이나마 전산세무회계가 인지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3) 재경관리사 / 회계관리
난이도 하→상
회계관리2급 → 회계관리1급 → 재경관리사
-전산세무회계처럼 인지도가 높은 편이지만 이론만을 다루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더 많은 부분, 지엽적인 부분을 출제하고 있으니 이론적인 면을 보강하고 싶으시다면 함께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각 과목 모두 70점 이상을 득점하셔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평균 70점이 아닙니다.
4) IFRS관리사
-중견기업, 상장기업 그 이상을 원하시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자격증입니다. 현재 중소기업이나 그 이하의 기업은 IFRS가 아닌 K-GAAP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때문에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중견 이상의 큰 기업을 원하실 경우 IFRS에 따라 작성하므로 지식적인 측면을 더욱 증명할 수 있는 편이고 난이도도 꽤 있습니다.
이 밖에도 몇가지 자격증이 있지만 주로 취급되는 자격증은 위와 같습니다.